올해 하반기 한국 경제가 나아갈 방향과 성장 전망을 제시하는 정부의 '하반기 경제정책방향 발표'가 시작됐습니다. <br /> <br />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주재하는데요. <br /> <br />취약계층 지원과 함께 호전된 경제 지표를 민생 현장의 온기로 연결하는 방안 등이 논의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윤 대통령 모두발언 들어보시죠. <br /> <br />[윤석열 / 대통령] <br />경제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입니다. 지난 1월 첫 번째 민생토론회에서 활력 있는 민생경제를 주제로 올해의 경제정책 방향을 논의했습니다. 우리 경제를 다시 도약시키고 민생경제를 일으키기 위해 정부, 기업, 국민이 함께 열심히 노력한 결과 지난 1분기 경제성장률이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1.3%를 기록했습니다. 코로나 시기를 제외하면 4년 3분기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2023년 1인당 국민소득도 사상 처음으로 일본을 추월했습니다. 경기 회복을 이끄는 수출은 9개월 연속 플러스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. 특히 상반기 수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9.1% 증가해서 3348억 달러를 기록했고 수입은 3177억 달러로 6.5% 줄었습니다. 23년 상반기 무역수지 적자가 263억 달러였는데 불과 1년 만에 231억 달러 흑자로 돌아섰습니다. <br /> <br />민생의 가장 큰 부담인 물가도 6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2.4%로 3개월 연속 2%대를 유지하며 안정되어 가고 있습니다. 국제사회도 우리의 경제 성과와 미래를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. OECD와 글로벌 신용평가회사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는 올해 우리 성장률을 2.2%에서 2.6%로 상향 조정했습니다. 외국인 투자자들은 2020년부터 2022년 상반기까지 69조 원의 주식을 순매도했지만 2022년 하반기 이후부터는 42조 원 이상의 순매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경제 시스템도 국제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. 6월 18일 발표된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의 2024년 국가경쟁력 평가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67개국 중 20위로 역대 최고 순위를 기록했습니다. 특히 국민소득 3만불, 인구 5000만 명 이상의 3050 클럽 국가 가운데는 미국에 이어 2위에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재정건전성을 지키면서 민간 주도, 시장 중심의 경제기조를 일관되게 추진하고 첨단 과학기술 육성을 비롯한 개혁정책에 집중해 왔습니다. 특히 노사 법치주의를 확립하여 파업으로 인한 근로손실일수가 역대 정부 평균의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고 이러한 것이 이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703101206026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